총량 : 이 약 1정(431.52mg) 중 | 성분명 : 카르비도파일수화물 | 분량 : 53.50 | 단위 : 밀리그램 | 규격 : EP | 성분정보 : 카르비도파로서 50.00mg | 비고 :
총량 : 이 약 1정(431.52mg) 중 | 성분명 : 레보도파 | 분량 : 200.00 | 단위 : 밀리그램 | 규격 : EP | 성분정보 : | 비고 :
1. 파킨슨병
2. 파킨슨증후군
1. 임상반응에 따라 적절히 증감하면서 최적용량을 결정한다. 용량조절시 환자의 반응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특히, 불수의운동, 운동이상 및 구역 등의 발생 및 악화에 주의한다.
2. 이 약은 1정 또는 1/2정으로 복용할 수 있으나, 서방정으므로 씹거나 부수어 복용하지 않는다.
3. 이 약의 용량을 조정하면서 레보도파 단일제제를 제외한 다른 항파킨슨약과 병용투여할 수 있다.
4. 이 약은 피리독신 보충제(비타민 B6)와 병용할 수 있다.
초 기 용 량
1) 기존에 레보도파/탈탄산효소저해제 복합제 일반정을 투여한 환자:
① 이 약을 레보도파로서 약 10% 증량 투여한다. 단, 임상반응에 따라 30%까지 증량할 수 있다.
② 수면시간을 제외하고 4~8시간마다 복용하되 용량별로 다음과 같이 분복한다.
레보도파/탈탄산효소저해제 복합제 일반정 1일 용량(레보도파로서 mg) |
레보도파/탈탄산효소저해제 복합제 서방정 200/50 용량별 투여횟수(레보도파로서 mg) |
300 - 400 mg |
1회 200mg, 1일 2회 |
500 - 600 mg |
1회 300mg, 1일 2회 또는 1회 200mg, 1일 3회 |
700 - 800 mg |
1일 총 800mg을 3회 이상 분복 (예, 오전 300mg, 오후 일찍 300mg, 오후 늦게 200mg) |
900 - 1000 mg |
1일 총 1000mg을 3회 이상 분복 (예, 오전 400mg, 오후 일찍 400mg, 오후 늦게 200mg) |
2) 기존에 레보도파 단일제제를 투여한 환자:
① 이 약을 레보도파로서 약 25% 증량투여한다.
② 이 약을 투여하기 적어도 12시간 전 기존의 레보도파 단일제제의 투여를 중지한다.
③ 경증 및 중등도 환자의 경우 이 약을 1정 씩 1일 2회 복용하되 투여간격을 6시간 이상으로 한다.
3) 레보도파 제제를 투여하지 않은 환자 : 경증 및 중증도 환자의 경우 본제를 1정씩 1일 2회 복용하되 투여간격을 6시간 이상으로 한다.
투 여 량 조 절
1) 초기용량 투여 후 임상반응에 따라 투여량, 투여간격을 적절히 증감한다.
2) 일반적으로 레보도파로서 1일 400-1600mg을 수면시간을 제외하고 4~8시간 마다 분복한다. 레보도파로서1일 2400mg 이상의 다량을 4시간 미만의 짧은 간격으로 복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지 않다.
3) 투여간격이 4시간 미만이거나 매 투여마다 복용량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하루 중 마지막 투여시 보다 적은 용량을 복용한다.
4) 같은 용량을 적어도 3일 이상 투여한후 증감을 고려한다.
유 지 량
1) 최적용량을 유지량으로 한다.
2) 파킨슨 병은 진행성질환이므로 정기검진을 통해 필요한 경우 이 약의 용법용량을 조정한다.
다른 항파킨슨약의 병용
1) 항콜린약, 도파민 효현제, 아만타딘과 병용할 수 있으며, 필요한 경우 이 약의 용량을 조정한다.
2) 중증 파킨슨 병 환자 중 속효성 레보도파제제의 추가투여가 필요한 경우 레보도파/탈탄산효소저해제 복합제 일반정과 병용한다.
투 여 중 지
1) 특히 신경이완제를 투여하는 환자의 경우 이 약의 감량 또는 투약을 중지할 필요가 있는지 면밀히 관찰한다.
2) 전신마취를 위해 이 약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경우 환자가 경구투여 가능할 때까지 투여하고, 다시 환자가 경구투여가 가능해지면 즉시 유지량으로 투여한다.
1.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.
1) 협우각형 녹내장 환자 (안압 상승을 일으켜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)
2) 이 약 및 이 약의 성분에 과민한 환자
3) 비선택성 MAO저해제를 복용하는 환자: 이 약을 투여하기 적어도 2주 전에 복용을 중단한다. 단, 선택성 MAO-B저해제 (예, 셀레길린염산염) 는 이 약과 병용할 수 있다 (5. 상호작용 항 참고)
4) 미진단성 피부질환, 피부병변이 의심되는 환자 또는 흑색종의 병력이 있는 환자 (레보도파는 악성 흑색종을 악화시킬 수 있다)
2.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.
1) 간‧신장애 환자
2) 위‧십이지장궤양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(상부위장관계 출혈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)
3) 당뇨병 환자 (혈당치를 상승시켜 인슐린의 필요량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)
4) 중증의 심혈관 또는 폐질환, 기관지천식, 내분비계 질환 환자 (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)
5) 경련 병력이 있는 환자
6) 잔류성 방실 부정맥, 결절성 부정맥 또는 심실 부정맥을 동반한 심근경색 환자 (투여초기 입원하여 심기능을 모니터하면서 이 약의 투여량을 조절한다)
7) 만성 광우각형 녹내장 환자 (안압상승을 일으켜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)
8) 이 약은 레보도파와 마찬가지로 뇌내 도파민증가로 인한 불수의운동, 정신장애가 나타날 수 있고 이 약 사용으로 재발할 수 있으므로, 이 경우 용량을 감량한다. 자살 경향이 있는 우울증의 발현을 주의깊게 관찰하며 정신질환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의 경우 주의한다.
9) 이 약은 레보도파 단일제제에 비해 뇌내 도파민 증가로 인한 운동이상 등이 보다 적은 용량에서 빨리 나타날 수 있으며, 이 약 투여시 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 일반정 투여시보다 운동이상이 증가할 수 있다. 운동이상은 레보도파-카르비도파 제제의 일반적인 이상반응이며 운동이상이 나타날 경우 감량한다.
3. 이상반응
1) 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 일반정을 투여하여 운동기능변동 (motor fluctuation) 을 보이는 중등도 내지 중증 파킨슨 병 환자를 대상으로 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 일반정과 비교임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이 약의 이상반응 발현빈도 및 양상은 유사하였다 (표 1 참조).
표 1. 이상반응 (발현빈도 1% 이상)
이상반응 |
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 일반정 (n=491)% |
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 서방정 (n=524)% |
이상반응 |
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 일반정 (n=491)% |
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 서방정 (n=524)% |
운동이상 구역 환각 착란 현기증 우울 요로감염 두통 악몽 근긴장이상 구토 상기도감염 호흡곤란 “On-off“현상 |
16.5 5.5 .3.9 3.7 2.9 2.2 2.2 2.0 1.8 1.8 1.8 1.8 1.6 1.6 |
12.2 5.7 3.2 2.3 2.3 1.3 2.3 1.9 0.8 0.8 1.9 1.0 0.4 1.1 |
요통 구갈 식욕부진 설사 불면 체위성저혈압 견통 흉통 근경련 무력 빈뇨 소화불량 변비 |
1.6 1.4 1.2 1.2 1.2 1.0 1.0 1.0 0.8 0.8 0.8 0.6 0.2 |
0.6 1.1 1.1 0.6 1.0 1.1 0.6 0.8 1.0 1.1 1.1 1.1 1.5 |
2) 임상시험동안 이 약 또는 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 일반정을 각각 투여한 443명, 475명 중 1%이상에서 헤모글로빈 및 헤마토크릿 치 감소, 혈당 증가, 뇨중 백혈구 및 세균 검출, 혈뇨 등의 임상 검사상의 이상을 나타냈다.
3) 다음은 각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받은 전체 748명으로부터 보고된 신체기관별 이상반응이다.
- 전신: 무력, 피로, 복통, 기립반응.
- 심혈관계: 심계항진, 고혈압, 저혈압, 심근경색.
- 위장관계: 위장관계 통증, 연하곤란, 가슴앓이.
- 대사: 체중감소.
- 근골격계: 하지통.
- 신경정신계: 무도병, 졸음, 넘어짐, 불안장애, 방향상실, 사고력감소, 보행장애, 추체외로계 이상, 흥분, 신경과민, 수면장애,기억력 감퇴.
- 호흡기계:기침, 인후통, 감기.
- 피부: 두드러기.
- 특수감각계: 시야혼미.
- 비뇨생식계: 뇨실금.
- 임상검사: 백혈구수 감소, 혈청 K+ 치 감소, BUN 증가, 혈청 크레아티닌 증가, 혈청 LDH 증가, 단백뇨 및 당뇨.
4) 이 약 시판 후 다음과 같은 이상반응이 보고되었다.
- 심혈관계:심장박동이상, 실신.
- 위장관계:미각이상, 흑색 침.
- 과민증:혈관부종, 두드러기, 가려움증, 수포성 병변 (펨피고이드성 반응 포함)
- 신경정신계: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 (4. 일반적 주의 항 참고), 진전, 말초 신경병증, 망상과 편집증적 관념을 포함하는 정신이상 증상, 성욕 증가, 병적인 도박 욕구.
- 피부: 탈모, 홍조, 흑색 땀.
- 비뇨생식계: 흑색 뇨.
5) 다음은 다른 레보도파 단일제 또는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의 이상반응으로 이 약에서도 발현가능성이 있는 이상반응이다.
- 심혈관계: 정맥염.
- 위장관계: 위장관계 출혈, 십이지장궤양의 악화, 고미, 타액분비과다, 이갈이증, 딸꾹질, 방귀, 혀의 작열감.
- 조혈계: 용혈성 및 비용혈성 빈혈, 혈소판감소증, 백혈구감소증, 무과립구증.
- 과민증: 헤노호쉔라인 (Henoch-Schonlein) 자색반
- 대사: 체중증가, 부종.
- 정신신경계: 운동실조, 자살 경향을 동반한 우울증, 치매, 다행증, 경련 (이약과의 상관관계는 밝혀지지 않음), 운동완서, 무감각, 근육뒤틀림, 안검연축 (과량투여의 초기증상이므로 이 경우 감량한다), 개구장애, 잠재성 호르너 증후군의 악화, 악몽.
- 피부: 악성 흑색종 (1.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항 참조), 조홍, 발한, 식은땀, 탈모.
- 특수감각: 안구운동발작, 동공산대, 복시.
- 비뇨생식계: 뇨저류, 뇨실금, 농축뇨, 발기지속.
- 기타: 기절, 쉰목소리, 권태감, 안면홍조, 자극감, 호흡이상, 신경이완제악성증후군.
- 임상검사: 알칼린포스파타제, SGOT (AST), SGPT (ALT), 빌리루빈, 단백결합형 요오드, 쿰스반응의 검사치 및 요산 검사치에 이상이 보고된 바 있다.
4. 일반적 주의
1) 약물로 인한 추체외로계 반응에 이 약을 사용하지 않는다.
2) 졸음 및 드물게 갑작스런 수면을 유발할 수 있으며 때때로 이 징후는 일상활동 중 자각이나 경고 없이 나타날 수 있으며, 조절장애 또는 주의력‧집중력‧반사운동능력 등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레보도파 등의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를 투여중인 환자는 자동차 운전 등 위험을 수반하는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한다.
3) 레보도파 단일제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이 약 복용 최소 12시간전에 레보도파 단일제 투여를 중지한 후 이 약을 레보도파로서 25% 증량투여한다.
4) 항파킨슨 약물 투여를 갑자기 중지할 경우 근육 강직, 체온 상승, 정신 변화, 혈중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제 상승 등의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 유사 증상이 보고되었으므로, 특히 신경이완제를 투여받는 환자에게 레보도파-카르비도파 제제를 갑자기 감량 또는 중지하게 될 경우 환자를 면밀히 관찰한다.
5) 이 약을 만성 광우각 녹내장 환자 위험이 있는 환자에 투여하는 경우 안압검사를 실시하여 안압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한다.
6) 이 약을 투여 받고 있는 동안에는 정기적으로 간, 조혈계, 심혈관계 및 신기능 검사를 실시한다.
7) 레보도파 또는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를 투여한 파킨슨병 환자에서 병적 도박, 병적 성욕 항진 등의 충동 제어 장애가 보고되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감량 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.
8) 마취가 필요한 경우 환자가 경구로 약과 액체를 삼킬 수 있을 때까지 이 약을 투여한다. 일시적으로 약물 투여가 중단된 경우 환자가 경구 투여를 받을 수 있는대로 즉시 통상적인 1일 용량을 투여한다.
9) 흑색종: 역학조사결과 파킨슨병환자는 일반인보다 흑색종 발병 위험이 2~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 흑색종 위험성 증가의 원인이 파킨슨병인지 파킨슨병 약제 등 다른 요인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. 따라서 이 약 사용시 정기적으로 흑색종을 모니터링 하여야 하며, 피부과 전문의 등 검증된 전문가에게 정기적으로 피부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.
10) 이 약은 복용 후 4~6시간 동안 서서히 방출되는 서방성 제제로서 기존의 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에 비하여 작용발현시간이 1시간 정도 지연될 수 있다.
11) 이 약 복용시 때때로 침, 뇨, 땀 등이 변색 (적색, 갈색 또는 검정색) 될 수 있다. 이러한 변색이 임상적으로 의미는 없으나 옷 등이 변색될 수 있다.
12) 이 약은 씹거나 부수어 먹지 않도록 한다.
5. 상호작용
1) 다음의 약들과 병용투여시 작용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병용할 경우에는 신중히 투여한다: 레세르핀 유도체 (뇌의 도파민양을 감소시킨다)
2) 항고혈압약: 기립성 저혈압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, 이 약 복용을 시작할 때에는 항고혈압약의 용량을 조절한다.
3) 도파민 D2 수용체 차단제 (예, 페노치아진계, 부티로페논계 및 리스페리돈 등 항정신병약), 이소니아짓, 페니토인, 파파베린은 레보도파의 약리적 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.
4) 다음 약들과 병용투여시 정신신경계 이상반응이 증강될 수 있으므로 병용할 경우에는 신중히 투여한다: 기타의 항파킨슨제 (항콜린제, 아만타딘, 브로모크립틴)
5) MAO 저해제: MAO 저해제 (Type A 또는 B) 를 투여받는 경우 “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” 항을 참조할 것. 셀레길린과 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 병용시 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 단독 투여시 나타나지 않는 중증의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.
6) 삼환계 항우울약과의 병용에 의해 드물게 고혈압 및 운동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.
7) COMT(Catechol-O-Methyl Transferase) 억제제 (톨카폰, 엔타카폰) : 레보도파의 생체내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. 레보도파-카르비도파의 양의 조절이 필요하다.
8) 교감신경흥분제는 레보도파와 관련된 심혈관계 부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.
9) 철분염: 황산철 또는 글루콘산철과 병용투여시 카르비도파 및 레보도파의 생체내 이용률이 저하된다는 연구가 있었다.
10) 레보도파와 일부 아미노산과의 길항작용으로 고단백식이에서 이 약의 흡수가 저해될 수 있다.
11) 메토클로프라미드: 위배출속도를 높여 레보도파의 생체내 이용률이 증가될 수 있으나 메토클로프라미드 역시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로서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6.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
1) 동물시험결과, 마우스에 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를 최대임상용량의 20배 투여한 결과 최기형성을 나타내지 않았다. 또한 랫트에 레보도파 및 카르비도파를 기관형성기에 각각 최대임상용량의 2배 및 5배 투여한 결과 출산수가 감소하였고, 토끼에 최대임상용량의 5/10배 ~ 10/20배의 레보도파-카르비도파를 투여한 결과 모든 용량 및 용량비에서 내장 및 골격계 이상을 나타냈다.
2) 임부를 대상으로 한 대조임상시험은 실시된 바 없다. 다만 레보도파가 사람의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 흡수되고 대사됨이 보고된 바 있다. 태아 조직에서 카르비도파의 농도는 미약하였다. 따라서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하는 경우에 투여한다.
3) 파킨슨병 환자인 수유여성 1명의 유즙에서 레보도파가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. 따라서 이 약을 수유중인 여성에게 투여할 때 주의한다.
7. 소아에 대한 투여
소아 및 청소년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입증된 바 없으므로 18세 이하 연령의 환자에게 이 약은 추천되지 않는다.
8. 고령자에 대한 투여
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증상을 관찰하면서 신중히 투여한다.
9. 과량투여시의 처치
1) 기본적으로 레보도파 과량투여시의 처치방법과 같다. 다만, 피리독신으로 이 약의 작용을 감약시킬 수 없다. 즉각적인 위세척 등 일반적인 처치를 실시한다. 정맥내 수액요법은 신중히 고려하고 기도를 확보하도록 한다.
2)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부정맥 발생 여부를 면밀하게 관찰하고 필요하면 부정맥 치료를 한다.
3) 이 약 외에 다른 약을 투여했을 가능성도 신중히 고려한다.
4) 이 약의 과량투여시 처치로서 혈액투석이 유용하다는 보고는 없다.
5) 랫트 또는 마우스에 대한 동물실험 결과 레보도파의 경구 치사량은 1500~2000 mg/kg 정도이며 어린 랫트의 경우 800 mg/kg 이다. 또한 카르비도파의 치사량도 이와 유사하다. 카르비도파 및 레보도파 1:10 복합제의 마우스에 대한 치사량은 3360 mg/kg 이다.
10. 임상검사치에의 영향
1) 케톤뇨 검사테이프에 의한 요검사에서 케톤체반응이 위양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, 이 반응은 뇨검체를 가열하여도 변하지 않는다. 포도당산화효소방법에 의한 당뇨시험에서 위음성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.
2) 헤모글로빈 감소, 헤마토크리트 감소, 혈당증가, 백혈구증가, 요중 세균검출, 혈뇨 등이 보고된 바 있다.
3) 레보도파-카르비도파 제제를 투여받는 환자에서 매우 드물게 갈색세포종이 오진단된 경우가 보고된 바 있다. 따라서 레보도파 또는 레보도파-카르비도파 복합제를 투여받는 환자에서 혈중 및 뇨중 카테콜아민과 그 대사체를 검사할 때에 주의하여야 한다.
4) 아미노트랜스퍼라제 (SGOT, SGPT), 알카린포스파타제, 젖산탈수소효소, 빌리루빈, 혈액 요소 상승 및 양성 쿰스 반응 등이 보고된 바 있다. 일반적으로 BUN, 크레아티닌, 요산 수치는 레보도파 단일제 투여시보다 카르비도파-레보도파 복합제 투여시 저하된다.
11. 적용상의 주의
레보도파제제의 장기 투여시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처치를 한다.
1) up-down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1일 용량의 범위 내에서 투여 횟수를 증가시킨다.
2) on-off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유지량을 점차적으로 감량하거나 휴약한다. 증상이 악화되면 기타의 항파킨슨제를 사용한다.
12. 기타
1) 항파킨슨제는 페노치아진계 약물, 레세르핀 유도체에 의해 나타난 입 주위의 불수의운동 (지발성 운동장애)을 보통 경감시키지 않는다. 경우에 따라서는 이런 증상을 악화시켜 현성화 될 수 있다.
2) 2년 동안 랫트에 레보도파 및 카르비도파를 각각 최대임상용량의 4배 및 2배 (이 약 8정에 해당) 투여한 결과 발암성을 나타내지 않았다.
3) 2년 동안 랫트에 레보도파 및 카르비도파를 각각 최대임상용량의 4배 및 2배 (이 약 8정에 해당) 투여한 결과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.
저장방법 | 밀폐용기, 실온(1~30℃)보관 |
사용기간 | 제조일로부터 48개월(Alu-Alu)/제조일로부터 36개월(HDPE) |
재심사대상 | |
RMP대상 | |
포장정보 | 제조원 포장단위 |
보험코드 | 668100730 |
보험약가 | 509 / 정 |
보험적용일 | 2014-02-01 |
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세종시